최근 일부 인터넷 환경에 설치된 공유기의 관리자계정과 비밀번호가 변조되어 공유기 설정페이지 로그인이 불가한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습니다.
해당 원인으로는 CSRF 취약점을 이용한 해킹 등으로 의심할 수 있으며, 해킹 방지를 위해서는 공유기의 펌웨어를
최신 보안 패치가 적용된 버전으로 반드시 업그레이드하여야 합니다.
또한 공유기의 국가별 접속 제한기능을 설정하여 해외IP로부터의 접근을 차단하고, 공유기에 설정된 불필요한 원격관리포트
설정을 중단하면 외부 해킹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진행 순서] 1. 최신 펌웨어 업그레이드
2. 국가별 접속제한 기능 설정
3. 불필요한 원격관리포트 사용 해제
1. 최신 펌웨어 업그레이드
당사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보안 권고 사항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으며,
안전한 인터넷 사용을 위해 지속적인 보안 패치 펌웨어를 지원합니다.
공유기를 최신 펌웨어로 업그레이드하여 해킹 위협에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1) 공유기 관리페이지 접속
공유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PC에서 아래와 같이 ⓛ~④순서로 공유기 설정 화면에 접속합니다.
ⓛ 인터넷 주소 창에 //192.168.0.1을 입력하여 ipTIME 공유기 설정 화면으로 접속합니다.
② 로그인 이름과 암호, 보안문자를 입력합니다. (로그인 이름에 admin이 입력되어 있다면, 로그인 암호에도 admin을 입력합니다.)
③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④ [관리도구]를 클릭합니다.
※ 공유기 설정 화면에 접속되지 않는다면, ipTIME 검색기를 이용하여 접속해 보시기 바랍니다.
2) 기본 메뉴 탭의 [펌웨어 업그레이드]에 접속하여 [자동 업그레이드]를 선택합니다.
3) 활성화된 [자동 업그레이드 실행] 버튼을 클릭하여 업그레이드를 진행합니다.
4) ‘펌웨어 업그레이드가 완료되었습니다.’ 팝업 알림창의 확인 버튼을 클릭하여 업그레이드를 완료합니다.
※ ipTIME 업그레이드 알리미를 이용하면 새로운 펌웨어 배포를 알림창으로 확인하여 간편하게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2. 국가별 접속제한 기능 설정
국가별 접속 제한 기능은 공유기 네트워크 접속을 국가별로 차단/허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특정 국가로부터의
접속을 차단하거나 지정 국가만 접속을 허용하여 무작위로 이루어지는 해외 해킹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국가별 접속 제한 기능을 이용하여 공유기 보안을 더욱 강화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1) 국가별 접속 제한- 차단 국가 설정
- 특정 국가로부터 공유기 네트워크 접속을 차단하고자 할 때 사용
(1) [보안 기능]-> [국가별 접속 제한 메뉴]에 접속하여 [국가차단]을 선택합니다.
(2) 추가(+)아이콘을 클릭하여 차단하고자 하는 국가를 선택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외부 접속 차단 국가에 선택한 국가가 추가된 것을 확인합니다.
본 게시물에서는 러시아, 중국, 일본을 차단리스트로 설정하였으며, 차단 국가는 제한 없이 추가할 수 있습니다.
(4) 차단 설정한 국가에서 공유기 네트워크로 접속을 시도하면 차단 카운트로 표시됩니다.
2) 국가별 접속 제한- 허용 국가 설정
- 특정 국가에서만 공유기 네트워크 접속을 허용하고자 할 때 사용
(1) 국가별 접속 제한 메뉴에서 [국가허용]탭을 선택 후 추가(+)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2) 허용하고자 하는 국가를 선택하고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본 게시물에서는 대한민국을 외부 접속 허용리스트로 설정하여 대한민국 외의 나라에서 접속을 제한합니다.
(3) 외부 접속 허용 리스트에 추가된 것을 확인합니다.
허용 리스트에 추가된 국가가 아닌 다른 나라에서의 접속을 시도하면 차단 카운트로 표시됩니다.
3. 불필요한 원격 관리 포트 사용 해제
공유기의 원격 관리 포트를 사용하면, 외부(원격지)에서 공유기 설정화면 접속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해킹은 외부(원격지)에서 접속을 시도하기 때문에, 보다 안전한 공유기 사용을 위해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공유기의 원격 관리 포트는 비활성화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 원격 관리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 공유기의 관리자 계정과 암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면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